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BSP
- Arm 아키텍처: 캐시
- ARM 아키텍쳐: 메모리 모델과 배리어
- udemy
- 실무PT후기
- 코멘토실무PT
-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ARM 아키텍처의 구조와 원리
- 코멘토
- 빌드 시스템
- arm
- 인프런
- yocto
- ARM 아키텍처: 메모리모델과 배리어
- Arm 아키텍처: 메모리 모델과 배리어
- Kernel
- Today
- Total
목록ARM 아키텍처: 메모리모델과 배리어 (2)
반도체 소프트웨어

멀티코어 시스템에서 배리어 여태까지는 싱글코어 기준 배리어 설명이었음 메모리주소에 저장된 값이 다른 core에서도 동기화될수있는지는 중요함 멀티코어시스템에서 데이터 동기화 문제 각 cpu코어에서 처리한 메모리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러 cpu 코어에서 명령어가 실행되어서 순서가 꼬이지 않는지예시) DMB ISH: 한 코어에서 업데이트한 메모리를 다른 코어에서도 동기화된채로 사용하도록 해주는 명령어 shareability Domain 과 배리어 shareability Domain: 멀티코어 환경에서 배리어 명령어의 적용 범위를 정의하는 것 배리어 명령어에 Qualifier 옵션을 줘서 배리어가 적용되는 범위를 결정 Qualifier 옵션 종류 SY: Full System 적용 OSH: Outer S..

메모리 리오더링의 사이트 이펙트(노멀 메모리에서 ARM 코어 최적화)에 의한 소프트웨어 버그를 예방하기 위한 기법 ARM 아키텍처는 명령어 실행 순서를 보장하는 배리어 제공 DMB(data memory barrier): 메모리 엑세스 순서 보장 메모리 머지(연속 메모리 접근), 리오더링들에 의해 명령어 순서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예를 들면 CPSR셋팅 등으로 실행 흐름이 변경될수있는 명령어라면 실행 순서가 바뀌면 안되며 이럴때는 배리어 사용해줘야함 STR, LDR에만 적용 가능. 즉 메모리 엑세스 명령어에만 적용됨 DMB (qual: 배리어 명령어 실행 범위 제한) DSB(data synchronizatinon barrier): 메모리 리오더링과 명령어 리오더링을 함께 방지하는 기능(DMB ..